탄소 흡수력 산림의 7배… ‘이탄습지’ 온실가스 저장고로 주목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한국어 English 中文 日本語

자유게시판

탄소 흡수력 산림의 7배… ‘이탄습지’ 온실가스 저장고로 주목

페이지 정보

작성자no_profile 목마른사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73회 작성일 25-02-21 15:18

본문

습지는 일 년 중 일정 기간 동안 얕은 물에 의해 잠겨 토양이 물로 포화되어 있는 땅을 말한다. 물이 환경과 동식물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생태적 가치가 크다. 특히 내륙습지에는 생물의 40% 이상, 포유류의 12% 이상이 서식하고 있다. 국내 습지 면적은 국토의 3.8%로 멸종위기종 32%가 살고 있다. 습지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가 결국 다양한 생물을 보호하는 것인 셈이다. 또 습지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탄소를 흡수한다. 침엽수림과 비교할 때 탄소를 1.8배 더 저장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 흡수원이다. 2일 세계습지의날을 맞아 습지의 무한한 잠재 가치에 대해 알아봤다.

● “습지, 전 세계 숲보다 2배 많은 탄소 흡수”

습지에는 거대한 양의 탄소가 저장돼 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따르면 전 세계 토양이 지닌 탄소의 약 30%가 습지에 갇혀 있다. 습지는 지구 표면의 3%에 불과하지만 500∼700Gt(기가톤)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다. 하지만 습지를 바라보는 시각은 엇갈린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탄소 흡수량을 따지는 고유 산정 방식이 없다면 습지를 탄소 배출원으로 파악한다. 또 습지의 기능이 손실된 곳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기도 한다.

하지만 습지가 훼손됐을 때 탄소 배출량만 고려한다면 건강한 습지의 탄소 흡수 기능을 과소평가하게 된다는 주장도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르면 습지가 1년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은 0.37Gt이다. 유엔환경계획의 습지 전문가 다이아나 코판스키는 “습지는 전 세계 숲보다 2배 많은 탄소를 흡수한다”며 “습지를 복원해 자연의 탄소 흡수원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 기술이 아니라 생태계를 활용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이른바 ‘자연기반해법’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https://abckr.myds.me.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파란하늘 인생스토리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