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하늘의 인생스토리
인공지능챗봇 | YoutubePlayer | MBC Radio | YTN Radio | TV시청 | WebAmp

탄소 흡수력 산림의 7배… ‘이탄습지’ 온실가스 저장고로 주목

페이지 정보

작성자no_profile 목마른사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93회 작성일 25-02-21 15:18

본문

습지는 일 년 중 일정 기간 동안 얕은 물에 의해 잠겨 토양이 물로 포화되어 있는 땅을 말한다. 물이 환경과 동식물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생태적 가치가 크다. 특히 내륙습지에는 생물의 40% 이상, 포유류의 12% 이상이 서식하고 있다. 국내 습지 면적은 국토의 3.8%로 멸종위기종 32%가 살고 있다. 습지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가 결국 다양한 생물을 보호하는 것인 셈이다. 또 습지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탄소를 흡수한다. 침엽수림과 비교할 때 탄소를 1.8배 더 저장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 흡수원이다. 2일 세계습지의날을 맞아 습지의 무한한 잠재 가치에 대해 알아봤다.

● “습지, 전 세계 숲보다 2배 많은 탄소 흡수”

습지에는 거대한 양의 탄소가 저장돼 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따르면 전 세계 토양이 지닌 탄소의 약 30%가 습지에 갇혀 있다. 습지는 지구 표면의 3%에 불과하지만 500∼700Gt(기가톤)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다. 하지만 습지를 바라보는 시각은 엇갈린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탄소 흡수량을 따지는 고유 산정 방식이 없다면 습지를 탄소 배출원으로 파악한다. 또 습지의 기능이 손실된 곳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기도 한다.

하지만 습지가 훼손됐을 때 탄소 배출량만 고려한다면 건강한 습지의 탄소 흡수 기능을 과소평가하게 된다는 주장도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르면 습지가 1년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은 0.37Gt이다. 유엔환경계획의 습지 전문가 다이아나 코판스키는 “습지는 전 세계 숲보다 2배 많은 탄소를 흡수한다”며 “습지를 복원해 자연의 탄소 흡수원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 기술이 아니라 생태계를 활용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이른바 ‘자연기반해법’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 현재 환율  USD $1 = 1,438.50 원


Document

포털 사이트 및  QR Code 스캔


-1

-9

-10

-4

1

-3

-4

-5

0

-4

-4

2
02-23 05:33 (일) 발표

프리미엄

프리미엄

최근이미지리스트

최근이미지리스트